한국에는 국가에서 지정한 5대 국경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국기 계양을 잘 하지 않아서, 막상 국경일에 태극기를 달려고 하면 방법을 몰라 당황스러울 때가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국경일 태극기 다는 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경일이란?
먼저 국경일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면, 이는 말 그대로 풀어보면 국가 경사날을 의미하는데요. 즉,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국가가 법률로 정해 놓은 날을 말합니다.
- 국경일 : 3월 1일(삼일절), 7월 17일(제헌절), 8월 15일(광복절), 10월 3일(개천절), 10월 9일(한글날)
태극기 다는 법
- 태극기 자리 : 문, 창문, 자동차 등에 달 수 있는데요. 정면에서 바로 보았을 때 중앙 또는 왼쪽에 위치하도록 게양합니다. 참고로 중앙보다는 왼쪽에 게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태극기 위치 : 깃봉과 깃대 사이를 떼지 않고, 위쪽에 붙여서 게양합니다.
국기 게양 시간
- 3~10월 : 07~18시
- 11~2월 : 07~17시
통상 해가 있을 때 게양하면 되는데요. 3~10월에는 7~18시까지, 11월~2월에는 7~17시까지 게양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해가 진 후 야간에도 태극기를 달고 싶다면 태극기가 잘 보이도록 조명을 설치해서 게양 하면 되겠습니다.
온라인 태극기 게양 방법
- 프로필 이미지 변경 : 하얀 배경을 기준으로 태극기를 위쪽으로 배치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 사항
- 다른 깃발과 함께 태극기를 게양할 때는 태극기를 중앙에 게양합니다.
- 훼손되거나 더러운 태극기는 게양 하지 않습니다.
- 태극기 문양이 반대로 달리거나 거꾸로 달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태극기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
※ 지금까지 태극기 다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는 국경일에 창문이나 대문 등에 큰 태극기를 달지 못한다면, 자동차나 온라인 등에라도 태극기를 달아서 함께 기념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