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는 몇 년째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 대표 시장 중 하나인 코스피를 두고 ‘박스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에 국내 증시에 투자하는 분들 중에는 증시 하락에 투자하는 ETF를 활용하는 분들도 있는데요. 그럼 이번에는 코스피 인버스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피 인버스 ETF란?
영어로 인버스는 ‘반대’를 뜻하는데요. 그래서 코스피 인버스 ETF는 코스피 주가 지수의 역으로 1배로 움직이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코스피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이 발생하고, 코스피 지수가 오르면 손실이 발생하는 상품인 것이죠. 예를 들어 코스피가 2% 상승하면 인버스는 2% 하락하고, 반대로 코스피가 2% 하락할 때 인버스는 2%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와 비슷한 상품으로는 ‘코스피 곱버스 ETF‘가 있습니다.)
인버스 ETF 종류
- KODEX 인버스 : 이는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 인버스 ETF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이며 시가총액도 약 7,000억 원으로 가장 높습니다. 사실상 다른 인버스는 거의 거래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KODEX 인버스 ETF가 거래량부터 거래 대금까지 압도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아쉬운 점은 운용 보수가 0.600% 높은 편이네요.
- TIGER 인버스 :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운용하고 있는 TIGER 인버스 ETF는 이번에 소개해 드리는 상품 중 2번째로 거래량이 있는 상품인데요. 하지만 시가총액은 약 400억 원으로 확실히 KODEX 인버스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운용 보수가 0.022%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 ACE 인버스 : 이는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인버스 ETF중 가장 낮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30억 원이며, 운용 보수는 0.150%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투자 시 유의할 점
기본적으로 증시 하락에 투자하는 상품이므로,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큽니다. 물론 코스피처럼 상승과 하락은 반복하는 증시는 이야기가 조금 다를 수 있겠지만, 웬만하면 하락 시기에 잠깐 헷지 용으로 투자한다고 생각하시고 접근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마무리
지금까지 코스피 인버스 ETF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인버스 ETF 종류까지 살펴보았는데요. 각각의 ETF가 구성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코스피 200 선물 지수’를 추종한다는 점은 같기 때문에 주가 움직임은 비슷해 보입니다. 또한 운용 보수도 큰 차이가 없어서 원하시는 상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이 글은 투자 추천 글이 아니며 ‘코스피 인버스 ETF’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작성한 글이니, 참고만 해주시고 투자는 스스로 판단하셔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