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과 신청 방법

국가에서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 사업을 여러가지 형태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중에는 청년들의 과도한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장려하는 상품도 있는데요. 바로 오늘 알아볼 청년도약계좌입니다. 그럼 청년도약계좌는 어떻게 지원되는 상품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정부가 청년들에게 현금으로 지원하는 상품으로 2023년 6월 15일~2025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되는 사업입니다. 기본적으로 가입 청년이 5년 간 월 70만 원을 넣는다면, 5년 이후 약 5,0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게 해주는 통장입니다. 물론 무조건 70만 원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최대 70만 원 이내로 본인이 할 수 있는 만큼 설정해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2월 신청 기간 : 2월 5일~16일까지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입 대상은 만 19~34세 청년이면서 개인 소득 요건과 가구 소득 요건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입니다. 만약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 만 19~34세 청년
  • 연 소득 7,500만원 이하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가구수100%180%
1인 가구207만 원372만 원
2인 가구345만 원621만 원
3인 가구443만 원797만 원
4인 가구540만 원972만 원
기준 중위 소득 100% / 180%


기본적으로 5년 동안 월 70만 원씩 납입하면 연 6%의 금리를 제공하는 것인데, 기본 금리 3.5~4.5%와 우대 금리를 합한 것으로 가입 후 3년은 고정 금리로 제공하고 나머지 2년은 변동 금리를 적용합니다. 이를 단순하게 계산해 보면 70만 원×5년(60개월)=4,200만 원이고, 나머지 800만 원을 지원하여 만기 시 약 5,000을 모을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인데요. 이는 가입자 납입금, 정부 기여금, 이자가 합쳐진 금액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개인 소득은 적고, 납입 금액이 클수록 정부기여금은 더 많아집니다.

개인 소득본인 납입금정부 기여금기여금 비율기여금 한도
2,400만 원70만 원40만 원6.0%2.4만 원
3,600만 원50만 원4.6%2.3만 원
4,800만 원60만 원3.7%2.2만 원
6,000만 원70만 원3.0%2.1만 원
7,500만 원
개인 소득과 납입금에 따른 정부 기여금 비율
  • 참고로 1년 주기로 개인 소득을 심사하는데, 만약 소득이 증가했다면 정부기여금도 조정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농협, SC제일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경북은행, 경남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금리는 우대 금리 적용에 따라 은행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 본인이 주로 이용하는 은행에서 알아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신청 방법은 간단한데 가입하고자 하는 해당 은행 어플을 다운받아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1. 해당 은행 어플 다운로드
  2. 로그인 후 청년도약계좌 검색
  3. 가입 신청 클릭
  4. 간단한 동의 절차 진행
  5. 가입 신청 완료 확인

위와 같이 가입을 완료하면 1인 가구는 3일 이내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2인 가구 이상은 약 2~3주 이내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가입자 퇴직, 가입자 해외 이주,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 특정 사유가 아니면 혜택을 받지 못했으나, 최근에는 3년 이상만 유지한다면 중도 해지 이율을 각 은행에서 제공되는 이율로 적용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즉, 예를 들어 신한은행에서 4년을 유지하다가 개인 사정으로 해지하게 되면 신한은행에 있는 적금 상품 4년 짜리 이율로 계산하여 적용해 준다는 뜻입니다.

※ 다만 5년 만기를 해야 청년도약계좌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모두 챙길 수 있으니, 가능하면 가입 전에 반드시 스스로 5년 동안 납입할 수 있는 금액을 신중하게 설정하셔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