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하는 병원 찾는 법(의사 파업, 집단 휴진)

생각보다 오래 정부와 의사들 간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는 결국 무기한 휴진까지 발표하고 행동에 들어갔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진료 가능한 가까운 병원 찾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료 병원 찾는 법

대표적으로는 콜센터로 문의하는 방법과 스마트폰 어플을 다운 받아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맘카페 등 지역 주민 커뮤니티에서도 휴진하고 있는 병원 리스트를 정리해 놓기도 하니, 이를 참고하셔도 되겠습니다.)

1. 콜센터

  • 보건복지부 : 129
  •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1644-2000


2. 스마트폰 앱

  • ‘응급의려정보제공’ 어플

해당 어플을 설치하시고 들어가시면 내 주변의 병.의원 진료 현황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휴진 상황

보건복지부에서는 전국 병·의원 36,371곳의 사전 휴진 신청 사항을 파악한 결과 4.02% 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사전 신고가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신고를 안하고 휴진하는 병·의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대한의사협회(의협)에서는 자체 투표를 통해에서 73% 이상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휴진을 강행하는 의원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사 파업 이유

마지막으로 현재 의사 파업이 진행되고 있는 이유를 핵심만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결국 의대 정원을 늘린다는 정부와 이에 반발하는 각 의사 단체가 의견 조율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정부는 의대 정원을 줄이고 싶다면 이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의사 단체들은 아예 의대 정원 완전 백지화를 고수하고 있어서 현재 대립 구도가 해결되기에는 더ㅉ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 참고로 이번 의사 파업은 2024년 1월 말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진행 중에 있습니다.


※ 지금까지 진료하는 병원 찾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 실제 휴진 여파가 얼마나 클지는 계속 지켜봐야겠지만, 그 가운데서 질병으로 인해 고생하고 있는 환자분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기를 바라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