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기준은 어떻게 되나? (종부세란?)

각 국가마다 부동산은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닌데요. 사람이 살기 위해 필수로 필요한 것이기도 하며, 돈으로 환산할 수 있는 자산 중 하나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동산을 거래하거나 소유할 때는 각 종 세금이 붙기도 하는데요. 이번에는 부동산 세금하면 자주 듣게 되는 종부세에 대해 알아보고, 종부세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부세란?

이는 ‘종합부동산세’를 줄임말로, 부동산을 많이 소유하고 있거나 일정 금액을 넘어가는 비싼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자에게 걷는 세금을 말하는데요. 크게는 3가지 유형으로 주택, 종합 합산 토지, 별도 합산 토지를 구분하여 과세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처음 도입한 시기는 2005년인데요. 도입한 이유는 가진 부동산이 많고 비쌀 수록 높은 세금을 징수해서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고,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 시키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종부세 과세 대상 기준

일반적인 1가구 1주택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공시 가격이 12억 원을 초과하면 부과 대상이 됩니다. 즉, 중요한 것은 시장 가격이 아니라 공시 가격이라는 것인데요. 통상 공시 가격은 아파트 가격을 기준해서 69% 수준이기 때문에, 실제 가격은 약 17억 4천만 원 이상이 되어야 종부세를 납부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인별과세이기 때문에, 만약 부부 공동명의일 경우에는 각각 약 9억 원이 넘어야 종부세 과세 대상이 되는 것인데요. 자세한 기준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과세 대상공제 금액
주택 (주택부속토지 포함)기본 9억 원 / 1세대 1주택자 12억 원
(부부 공동명의 경우 각 9억 원씩 18억 원까지)
종합 합산 토지 (잡종지, 나대지 등 포함)5억 원
별도 합산 토지 (상가, 사무실, 부속토지 등 포함)80억 원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과 공제 금액 정리 표

참고로 여기서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부분은 대부분 주택 과세 부분입니다.


종부세 세율

2주택 이하 (과세 표준 / 세율%)3주택 이상 (과세 표준 / 세율%)
3억 원 이하 / 0.5%3억 원 이하 / 0.5%
6억 원 이하 / 0.7%6억 원 이하 / 0.7%
12억 원 이하 / 1.0%12억 원 이하 / 1.0%
25억 원 이하 / 1.3%25억 원 이하 / 2.0%
50억 원 이하 / 1.5%50억 원 이하 / 3.0%
94억 원 이하 / 2.0%94억 원 이하 / 4.0%
94억 원 초과 / 2.7%94억 원 초과 / 5.0%
주택수별 과세 표준과 세율


납부기간
  • 매년 12월 1일 ~ 12월 15일 (약 2주 간)

종부세는 통상 12월에 납부하며, 일시 납부를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금액이 클 경우에는 분납할 수 있는데요. 250만 원을 초과한다면 납부 세액의 일부를 정해진 기간 내에 분납하면 됩니다.


종부세 계산 방법

종부세는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계산해 볼 수 있는데요. 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세금신고 메뉴를 선택합니다.
  3. 종합부동산세 메뉴를 클릭합니다.
  4. 합부동산세 간이세액계산을 선택합니다.
  5. 정보를 입력한 후 계산하면 완료입니다.


※ 지금까지 종부세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종부세 기준과 계산 방법까지 다양하게 살펴보았는데요. 그럼 세금 납부 전에 미리 참고하셔서 납부 금액도 확인하시고 준비해 보시기 바라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