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의 출산률은 지속적으로 최저 기록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나라가 없어진다는 말이 나올 만큼 심각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정부에서는 출산 장려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만들고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출산 장려 정책의 일환인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신 출산 진료비란?
이는 사회 보장 정보원과 위탁 금융사가 연계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임산부의 건강한 태아 분만과 더불어 산모의 건강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진료비의 일부를 전자 바우처(국민행복카드)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임신이 확정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 확인서로 확인된 자가 지원 대상입니다. (참고로 ‘의료급여법’에 따라 의료 급여를 받는 자 또는 국가 유공자 등 의료 보호 대상자로 건강보험 적용에서 배제 신청한 자는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지원 신청 방법
- 임산부 본인 또는 가족 신청
기본적으로 임산부 본인이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고위험 임신으로 판정되어 이동이 어려운 분들이라면 가족이 대리 신청 가능합니다.
- 방문 신청 방법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 및 임신 확인서를 병원에서 발급 받아 거주 지역 건강보험공단지사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 온라인 신청 방법
임신 확인서 정보를 요양기관정보마당 홈페이지에서 입력/지급 가능한 카드사 홈페이지 혹은 전화로 신청합니다.
카드사 | 접수처 |
---|---|
BC카드 | · (전국) 우리은행, NH농협, IBK기업은행, 수협은행, 우체국,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
롯데카드 | · 롯데카드 지점 · 롯데백화점 카드센터 |
삼성카드 | · 삼성카드 지점 · 새마을 금고 · 백화점 고객센터 및 지역단 가입센터 |
KB국민카드 | · 온라인 KB국민카드 · KB국민은행 전국 영업점 |
신한카드 | · 온라인 신한카드 · 신한은행 전국 영업점 |
- 필요 서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 및 임신 확인서 (가족 대리인이 신청할 경우 : 대리인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혹은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사용 방법 및 기간
- 국민행복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카드 수령 후 분만 예정일 이후 2년 까지 사용 가능하며, 기간 내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
지원 금액
임신 1회 당 100만 원 지원 됩니다. (참고로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 원이 지원됩니다.)
- 지원 범위
임산부의 진료비 및 약제비와 2세 미만 영유아 진료비 및 약제비를 지원합니다.
※ 끝맺음
지금까지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출산은 감사하고 행복한 일이면서, 힘들고 경제적 부담도 생기는 만큼 해당 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셔서 지원 받으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보기 : 국민행복카드 종류와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