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전기료를 걱정하는 것처럼 겨울철이 되면 항상 걱정하게 되는 것이 바로 난방비 입니다. 그런데 보일러 설정 기기에 보면 실온과 온돌 버튼이 따로 있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더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지 헷갈릴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실온 온돌 차이점 및 난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실온
실온 기능을 설정하면 보일러 설정기 밑 부분에 있는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하게 됩니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실내 온도가 맞춰질 때까지 보일러가 작동하게 되고, 설정 온도에 다다르면 작동을 멈추게 되는데요. 통상 이 기능은 우풍(외풍)이 없는 가정에서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 입니다. 참고로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는 18~20도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체감상으로는 22~25도 정도가 적당합니다. 다만 이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니, 여러분에게 맞는 온도를 찾아보시기 바라요.
온돌
온돌 설정은 방바닥에 보일러 배관을 따라 흐르는 난방수로 온도 높이 기능을 말합니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춰 난방수가 데워지면서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방식인데요. 여기서 난방수는 수도를 통해 물을 계속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보일러와 배관 속에 있는 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 온도가 떨어져도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에 우풍(외풍)이 심한 가정에서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 입니다. 참고로 적정한 온돌 설정 온도는 60~70도라고 하는데요. 이 온도로 약 1시간 작동 시 실내 온도는 약 1~2도 정도 상승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온수 설정
보통 보일러 온수 설정은 저, 중, 고 혹은 약, 중, 강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날씨가 춥다는 이유로 무조건 고 혹은 강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렇게 설정하면 물을 약 70도 이상까지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많은 가스비가 나올 수 있습니다. 만약 특별히 뜨거운 물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면 중으로 맞춰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외출 및 예약
참고로 외출 및 예약 기능 활용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면, 기본적으로 외출 버튼은 보일러 동파 방지를 위해 최소한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버튼입니다. 이에 통상 8~10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는데요. 그래서 1주일 이상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가 아니라면, 외출로 설정하는 것은 오히려 손해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실내 온도를 1도 올리는데도 가스비가 약 7%나 더 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만약 1~3일 정도 단기간 외출을 한다면 평소 사용하시는 온도보다 약 3~5도 정도 낮춘 후 예약을 2~3시간 정도로 맞춰 돌아가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직장이나 학교 등으로 한나절 외출을 하는 경우라면, 온도만 3~5도 정도 낮추는 것이 가스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 외 가스비 절약 방법
- 뽁뽁이 부착 : 실내의 따뜻한 온기는 약 40%가 창문을 통해 빠져나간다고 하는데요. 창문에 뽁뽁이를 부착하면 실내 온도가 2~3%정도 상승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참고로 뽁뽁이는 창문을 깨끗이 닦고, 물과 세제를 10:1 비율로 섞어 분무기를 활용해 뿌린 후 붙이면 더욱 잘 붙습니다.
- 커튼, 카페트, 러그 사용 : 커튼으로 창문의 우풍을 막고, 카페트나 러그로 방바닥 열기를 잡아주면 실내 온기를 더욱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 히터, 온풍기 사용 : 히터나 온풍기는 창문 가까운 곳에 놓고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윗 쪽보다는 아래 쪽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내복, 수면 잠옷, 수면 양말 착용 : 실내에서 내복, 수면 잠옷, 수면 양말 등을 착용하면, 체감 온도를 실내 온도 보다 약 2~3도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
※ 끝맺음
지금까지 실온 온돌 차이점 및 난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참고로 운동도 체온 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실제 운동으로 근육량이 늘어나면 기초 대사량이 높아지고, 기초 대사량은 대부분 체온 유지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건강한 겨울을 보내기 위해 운동도 꾸준히 해보시기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