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컴이 주목 받는 이유와 전망(레버리지 ETF 소개)

브로드컴이 엔비디아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기업으로 떠오르면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럼 왜 브로드컴이 엔비디아와 비교되고 있을까요? 그래서 이번에는 브로드컴은 어떤 기업인지, 그리고 왜 엔비디아와 비교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바로 보시죠.


브로드컴은 어떤 기업인가?

브로드컴은 네트워크 반도체(무선 통신 칩) 및 인프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분류 보면 반도체 칩으로 네트워크,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 관련 칩이 있고,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데이터 센터나 네트워크 인프라 혹은 IT 관리나 보안 솔루션 제공 등이 있습니다. 이 중 특히 주목 받고 있는 영역이 바로 네트워크 반도체 입니다.


주목 받는 이유

브로드컴이 주목 받는 이유는 현재 엔비디아의 주력 사업인 AI 반도체(GPU) 부문을 위협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인데요. 엔비다아는 지금까지 GPGPU(General-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라고 하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AI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으며,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습니다. 다만 가격이 매우 비싸죠.

반면, 브로드컴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라고 하는 맞춤형 AI 반도체를 제작하고 있는데요. 말 그대로 고객이 원하는 AI 반도체를 만드는 것과 같아 좋은 효율을 내면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죠. 이에 앞으로 브로드컴의 AI 반도체가 엔비디아의 GPU를 대체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며 ‘엔비디아 대항마’, ‘제 2의 엔비디아’ 등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다만 브로드컴이 만들고 있는 ASIC과 엔비디아 GPGPU의 활용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엔비디아 만큼의 파급력이 없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브로드컴과 엔비디아 차이점은?

기본적으로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로 생산하는 칩이 다른데요. 이에 가격, 효율성, 활용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엔비디아가 강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CUDA)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브로드컴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Tanzu)를 모두 구축하고 있죠. 이를 간단히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브로드컴엔비디아
성능특정 부문에서 높음전반적으로 높음
효율성높음낮음
범용성낮음높음
가격저렴함비쌈
플랫폼Tanzu(탄주 / VMware)CUDA(쿠다)
브로드컴 엔비디아 차이


향후 전망은?

최근 브로드컴은 주력 사업 중에서 반도체 부문(ASIC)의 실적이 크게 성장했다고 밝혔는데요. 실제 많은 전문가들도 맞춤형 AI 칩(ASIC) 시장은 2027년까지 약 2배(20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전체 AI 시장에서도 엔비디아 GPU의 독점(약 95% 이상)을 깨고 ASIC이 약 25%를 차지하게 되는 구조로 바뀔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즉,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들이 엔비디아의 의존도를 낮추고, 자신들의 목적에 맞는 반도체를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 같습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브로드컴이 당장 큰 성장을 한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고, 꾸준히 성장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브로드컴 레버지리 ETF는 있을까?

참고로 브로드컴은 2배 레버리지 ETF가 있습니다. 이는 브로드컴 일일 수익률의 2배로 움직이는 ETF인데요. 간단하게 소개 드리자면 티커 AVGX 이고, 운용 보수는 1.29% 입니다. 상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배당 내역은 없네요. 상장일은 2024년 8월 이예요.


※ 마무리

지금까지 브로드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 성장할 좋은 기업은 맞다고 생각되지만, 최근 이슈로 인해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한 경향이 있으니 투자를 고려하고 계시다면 이 부분 유념하셔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항상 성공하는 투자하시길 바라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