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채권은 24시간 이내 채권부터 30년 이상 영구 채권까지 다양하게 발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미국 채권 중 3년 이내 채권을 단기채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미국 단기채 ETF 종류와 레버리지 ETF 상품까지 함께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하셔서 투자에 활용하시기 바라요.
1. SGOV
이는 Black Rock(블랙록)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3개월 미만 미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입니다. 운용 수수료는 0.07%로 매우 낮은 수준이네요. 배당은 월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 약 5.25% 입니다. 채권 상품답게 배당 성향이 좋네요. 그리고 3개월 미만 미국 단기채 ETF 중 이와 비슷한 상품으로 BIL과 ULST가 있는데요. BIL의 운용 수수료는 0.14%로 SGOV보다 더 높으며, 배당은 월 배당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있고 배당 수익률은 약 5.22% 입니다. ULST는 운용 수수료가 0.20%로 가장 높고 배당은 월 배당을 지급, 배당 수익률은 약 4.66% 입니다. 참고로 이 ETF들을 표로 간단하게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SGOV | BIL | ULST |
---|---|---|---|
운용사 | Black Rock (iShares)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SPDR)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SPDR) |
운용 수수료 | 0.07% | 0.14% | 0.20% |
배당 | 월 배당 | 월 배당 | 월 배당 |
배당 수익률 | 약 5.25% | 약 5.12% | 약 5.07% |
상장일 | 2020년 5월 26일 | 2007년 5월 25일 | 2013년 10월 09일 |
정식 명칭 |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 |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 | SPDR SSgA Ultra Short Term Bond ETF |
현재 주가(참고) | 100.51달러 | 91.65달러 | 40.52달러 |
이 중 사실상 SGOV ETF가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인데요. 아마 가장 낮은 운용 수수료와 높은 배당률 때문인 것 같습니다. 다만 주가는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참고하셔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주가가 낮아 더 많이 살 수 있는 ULST ETF가 더 매력있다고 생각되네요.
2. SHV
이는 Black Rock(iShares)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1년 미만 미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입니다. 운용 수수료는 0.15%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배당은 월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약 5.13% 입니다. 이 ETF도 채권 상품답게 배당 성향이 좋네요. 참고로 1년 미만 만기 미국 단기채 ETF는 이 상품이 유일합니다. 간단히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구분 | SHV |
---|---|
운용사 | Black Rock(블랙록) |
운용 수수료 | 0.15% |
배당 | 월 배당 |
배당 수익률 | 약 5.15% |
상장일 | 2007년 1월 5일 |
정식 명칭 | 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 |
현재 주가(참고) | 110.33달러 |
3. SHY
이는 Black Rock에 운용하는 상품으로 1~3년 미만 만기 미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입니다. 운용 수수료는 0.15%로 비교적 낮은 수준입니다. 배당은 월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약 3.49% 입니다. 이 ETF는 채권 만기가 조금 길어지는 만큼 배당 수익률도 조금 낮네요. 그리고 1~3년 미만 미국 단기채 ETF 중 이와 비슷한 상품으로 VGSH가 있는데요. VGSH의 운용 수수료는 0.04%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배당은 월 배당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배당 수익률은 약 3.31% 입니다. 참고로 이 ETF들을 간단히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아요.
구분 | SHY | VGSH |
---|---|---|
운용사 | Black Rock | Vanguard |
운용 수수료 | 0.15% | 0.04% |
배당 | 월 배당 | 월 배당 |
배당 수익률 | 약 3.49% | 약 3.31% |
상장일 | 2002년 7월 22일 | 2009년 11월 19일 |
정식 명칭 |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 Vanguard Short-Term Treasury Index Fund ETF Shares |
현재 주가(참고) | 82.10달러 | 58.28달러 |
이 중 더 인기 있는 상품은 SHY ETF 인데요. 개인적으로는 주가, 운용 수수료, 배당 등 모든 걸 종합해 봤을 때 VGSH ETF가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됩니다.
4. TUA
이는 Simplify(심플리파이)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2년 미만 미국 국채에 투자할 수 있는 레버리지 ETF 입니다. 약 5배 레버지리 상품으로 고위험 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그래도 운용 수수료는 0.15%로 비교적 낮은 수준입니다. 그리고 레버리지가 큰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배당을 지급하고 있는데요. 배당은 월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약 4.3% 입니다. 참고로 간단히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TUA |
---|---|
운용사 | Simplify(심플리파이) |
운용 수수료 | 0.16% |
배당 | 월 배당 |
배당 수익률 | 약 4.3% |
상장일 | 2022년 11월 14일 |
정식 명칭 | Simplify Short Term Treasury Futures Strategy ETF |
현재 주가(참고) | 21.37달러 |
미국 단기채 2배, 3배 레버리지는 없을까?
참고로 앞서 살펴본 TUA ETF 외에, 미국 단기채 레버리지 ETF는 없습니다. 그러니 만약 미국 단기채 ETF를 찾고 계신다면, 위 상품 중 골라서 투자하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미국 단기채 2배 레버리지 ETF 정도는 있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인데, 아쉽네요.
미국 단기채 투자 활용법
통상 미국 단기채 ETF는 비교적 높은 배당을 주기 때문에, 배당주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금리가 높을 때는 가격이 떨어져 있어서 금리 하락 시 가격이 오르는 시세 차익도 덤으로 누릴 수 있고, 이로 인해 배당률도 올라가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요. 즉, 금리가 높은 시기나, 앞으로 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투자한다면 투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지금까지 미국 단기채 ETF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채권은 기본적으로 금리 인하시기에 더 높은 수익과 배당을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잘 활용해 보시기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