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존스 레버리지 ETF 종류 (DIA, DDM, UDOW)

미국을 대표하는 3대 지수는 다우존스, 나스닥, S&P500이 있습니다. 이 중 다우존스는 3대 지수 중 가장 오래 되었으며, 미국 증시의 우량한 기업 30개로 구성된 지수인 만큼 안정적인데요. 실제로 골드만삭스, JP모건, 나이키, 마이크로소프트, 맥도날드, 3M, 비자, 애플, 월마트, 코카콜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다우존스 레버리지 ETF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DIA

이는 State Street(스테이트 스트리트)에서 운용하는 ETF로, 미국 다우존스 지수를 1배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그래서 다우존스 레버리지 ETF라고는 할 수 없지만, 다음으로 살펴보는 다우존스 2배, 3배 레버리지 추종 상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라고 생각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국내에서는 ‘다이아’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특히 배당주로 유명합니다. 월 배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80%입니다. 월 배당이라는 점이 매력적이긴 한데, 개인적으로는 배당 수익률이 아쉽네요. 다만 미국 증시가 우상향 하는 것을 생각하면 장기적으로 시세 차익과 월 배당까지 함께 누릴 수 있는 좋은 상품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운용 수수료는 0.16%로 낮은 수준이예요. 참고로 정식 명칭은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이며, 상장일은 1998년 1월입니다.


2. DDM

이는 ProShares(프로셰어즈)에서 운용하는 ETF로, 다우존스 지수를 2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즉, 다우존스가 1% 상승할 때는 2% 상승하고, 1% 하락할 때는 2%하락하는 ETF인데요. 1배는 아쉽고, 너무 높은 레버리지(3배) 투자는 부담되시는 분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레버리지가 높아서, 배당 수익률은 DIA ETF보다 낮은데요. 약 1.2%가 낮은 0.58%입니다. 그리고 배당도 일정하지 않으며, 현재 최근 내역을 보면 분기 배당 혹은 연 배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즉, 배당보다는 높은 시세 차익을 목표로 하는 분들에게 좋은 상품이 되겠네요. 운용 수수료도 0.95%로 레버리지 상품 특성상 조금 높은 편입니다. 참고로 정식 명칭은 ProShares Ultra Dow30이고, 상장은 2006년 6월에 하였습니다.


3. UDOW

이는 DDM ETF와 동일하게 ProShares에서 운용하는 ETF이며, 다우존스 지수를 3배로 레버리지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즉, 다우존스가 상승하고 하락함에 따라 3배로 움직이게 되는데요. 그래서 사실상 다우지수를 추종 상품 중 가장 높은 시세 차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다만 상승 폭이 큰 만큼, 하락 폭도 커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은 분기 배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0.78% 입니다. 의외로 2배 레버리지 상품인 DDM ETF보다 배당이 안정적이네요. 그러나 레버리지 상품인 만큼 배당 성향은 언제든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운용 수수료는 0.95%로 DDM ETF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정식 명칭은 ProShares UltraPro Dow30이며, 상장은 2010년 2월입니다.


다우존스 레버리지 ETF 종류 비교
구분DIADDAUDOW
레버리지1배2배3배
운용 수수료0.16%0.95%0.95%
배당월 배당분기 또는 연 배당분기 배당
배당 수익률1.80%0.58%0.78%
운용사State StreetProSharesProShares
상장일1998년 1월2006년 6월2010년 2월
다우존스 레버리지 ETF 종류 구분


※ 마무리

지금까지 다우존스 레버리지 ETF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본적으로 다우존스 지수는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 중 가장 안정적인 지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그렇기 때문에 지수의 변동성이 크지 않은데요. 즉, 단기에 만족스러운 수익을 얻기에는 적절한 투자처가 아닐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상 S&P500 ETF나 나스닥 ETF보다는 인기가 없는데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가장 안정적으로 믿고 투자할 수 있는 지수이기도 하죠. 개인적으로는 노후 연금 개념으로 배당을 생각하신다면 DIY ETF를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익을 원하신다면 UDOW ETF를 선택하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그럼 여러분의 투자 성향에 맞게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이 글은 투자 추천 글이 아니니, 투자는 스스로 판단하셔서 진행하시기 바라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