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데이터 센터나 에너지 관련 산업으로 영향력이 번지고 있습니다. 이에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산업을 주로 모아둔 인프라 ETF 상품도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한국의 기업들을 담고 있는 국내 인프라 ETF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프라란?
‘인프라(infra)’는 사회적 생활 기반을 뜻하는 말인 infrastructure(인프라스트럭처)를 줄여서 부르는 말인데요. 즉, 생활이나 생산에 필요한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물인 도로, 철도, 항만, 발전소, 통신 등의 산업 기반 시설과 학교, 병원, 상수 처리, 하수 처리 등의 생활 기반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그럼 이제 국내 상장 되어있는 대표적인 인프라 ETF 상품을 하나하나 살펴볼까요?
1. HANARO CAPEX설비투자iSelect
이는 건축설비, 전력설비, 풍력발전설비, 원자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 공작기계 등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설비투자 산업 관련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국내 기업을 선별하여 투자하는 ETF로, 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에 상장하였고, 시가총액은 720억 원으로 인프라 ETF 중 가장 인기 있는 상품입니다. 기초기수는 iSelect CAPEX 설비투자 지수를 추종하며, 운용보수는 0.450%로 일반적인 ETF 운용보수 수준입니다. 배당은 1, 4, 7, 10월 분기 배당을 계획하고 있지만 실제 지급은 1년에 1번 정도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다만 상장한 기간이 얼마 되지 않아 앞으로 분배금이나 지급 방식이 달라질 수도 있겠습니다. 또한 1년 간 수익률을 기간 별로 정리해 보면 1년 +34.76%, 6개월 +47.31%, 3개월 +31.99%, 1개월 +3.78%로 높고 안정적인 수익을 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상위 10가지 구성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성 종목 : HD현대일렉트릭(21.49%), LS ELECTRIC(10.50%), LS (9.61%), 두산밥캣(8.58%), 두산에너빌리티(8.40%), 한국전력(7.19%), 효성중공업(5.86%), 씨에스윈드(4.46%), HD현대인프라코어(3.60%), 한전기술(3.03%)
2.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이는 삼성액티브자상운용에서 운용하고 있는 상품으로 2024년 1월에 상장한 ETF입니다. 시가총액은 344억 원이며 기초기수는 Solactive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 RP 지수를 추종있습니다. 운용보수는 0.500%로 조금 높은 편입니다. 배당은 1, 4, 7, 10월 분기 배당을 계획하고 있지만, 상장한 기간이 얼마 되지 않아 앞으로 지급되는 현황을 확인해야 되겠습니다. 최근 3개월 수익률을 정리해 보면 3개월 +23.11%, 1개월 +6.36%로 안정적인 수익을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기후테크’란 온실가스 감축에 관련된 기술과 기후변화에 대응 및 적응 하는 기술을 통칭하여 이르는 말인데요. 다시 말해 재생에너지 기술, 탄소 포집 기술 등을 발전시켜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한 모든 기술을 집약한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 기업 구성 종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요. KoAct 글로벌기후테크인프라액티브 ETF는 국내 기업 외에도 미국이나 유럽 주식 시장에 상장 된 해외 기업인 재너럴일렉트릭, 퍼스트솔라 등 저탄소에너지 관련 기업들과 이튼, 콴타서비스, 슈나이더일렉트릭 등 인프라 관련 기업들도 다양하게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습니다.
- 구성종목 : 일진전기, 씨에스윈드, 대한전선, HD현대일렉트릭, 삼화콘덴서, 우리기술, 한화솔루션, LS에코어너지, LS, 효성중공업
※ 마무리
지금까지 한국 주식 시장에 상장 된 인프라 ETF 종류를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환경 문제와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전력 수요는 증가하면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도 함께 일어나고 있는 만큼, 전 세계적으로 인프라의 변화는 계속 될 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 그래서 당분간은 계속 성장할 수 있는 산업이 아닐까 기대해 봅니다. (참고로 이 글은 투자 추천 글이 아니니, 투자는 스스로 판단하셔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