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이 날이 갈수록 줄어든다는 통계가 매년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각 개인의 노후 준비가 더욱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는 개인연금계좌를 통해 노후 생활을 준비하는 투자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개인 투자자가 연금계좌를 통해 많이 거래하고 있는 국내 미국 S&P 500 ETF 상품의 종류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P 500이란?
이는 스탠더드 앤 푸어스(Standard & Poor’s)라는 금융 회사가 개발한 것으로 1957년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미국 내 상장 되어있는 상위 500개 기업의 주가를 추적하여 움직이는 상품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미국 경제 상태를 파악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미국 주식 시장의 전체 성과를 파악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미국 S&P 500은 처음 소개된 이후로 2023년까지 약 연 평균 10.26%의 수익률을 기록해 왔으며, 이는 웬만한 전문가의 수익률 보다 훨씬 뛰어난 수익률입니다.
국내 미국 S&P 500 ETF란?
이는 한국판 미국 S&P 500 지수 추종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는데요. 미국의 S&P 500 지수 추종 상품하면 대표적으로 ‘SPY‘를 꼽을 수 있죠. 그리고 SPY는 워렌 버핏이 자신이 죽으면 전 재산의 90%를 이 상품에 투자하라는 유언을 남기면서 더욱 유명해진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 미국 S&P 500 ETF 상품 출시 시기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는데요. 대부분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겪으면서 국내 주식 시장이 큰 호황을 맞은 2020년 이후 등장하였습니다.
국내 미국 S&P 500 ETF 종류
현재 국내에서 출시된 상품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여기서는 시가총액이 높고 거래량도 많은 대표적인 4가지가 상품을 정리했습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글 작성 일을 기준으로 정리한 내용이며, 시기에 따라 약간의 변동은 있을 수 있습니다.)
- TIGER 미국 S&P 500 : 미래에셋자산운용사에서 출시한 상품으로 상장일은 2020년 8월 입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3조로 미국 S&P 500 ETF 상품 중에서 월등히 높습니다. 당연히 시가총액이 높을 수록 거래는 활발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죠. 총 보수는 0.173%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합니다. 1주 당 배당금은 연 200원을 지급하고 있고, 배당 수익률은 연 1.2%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배당은 분기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1월, 4월, 7월, 10월에 나누어서 총 4번 지급됩니다.
- ACE 미국 S&P 500 : 한국투자신탁에서 출시한 상품으로 상장일은 2020년 8월 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7천 2백억 원이며, 국내 상장된 미국 S&P 500 상품 중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물론 거래량도 TIGER 미국 S&P 500 다음으로 많습니다. 총 보수는 0.159% 비교적 낮은 편에 속합니다. 현재 1주 당 배당금은 연 210원이 지급되고 있고, 배당 수익률은 연 1.3%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배당 분배는 분기로 나누어서 총 4번 이루어지고 있으며 1월, 4월, 7월, 19월에 지급됩니다.
- KBSTAR 미국 S&P 500 : KB자산운용에서 출시한 상품으로 상장일은 2021년 4월 입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천 5백억 원이며 미국 S&P 500 ETF 상품 크기로는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거래량도 확인해 보면 비교적 적게 이루어지고 있네요. 총 보수는 0.120% 가장 낮습니다. 또한 1주 당 배당금은 연 212원으로 가장 높으며, 배당 수익률은 연 1.5%가 되겠습니다. 배당 분배도 독특하게 5번 이루어 지고 있는데요. 1월, 4월, 7월, 10월, 12월에 지급됩니다.
- SOL 미국 S&P 500 : 신한자산운용에서 출시한 상품으로 상장일은 2022년 6월 입니다. 시가총액은 약 6백억 원으로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국내 미국 S&P 500 ETF 상품 중에서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 물론 상장 시기가 가장 늦은 것도 있어서 단순 비교로 결론 내릴 수는 없고, 국내 미국 S&P 500 시가총액 순위로도 4위에 해당될 만큼 꾸준히 규모가 커지고 있는 상품입니다. 거래량도 아직은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네요. 총 보수는 0.192% 비교적 높은 수준입니다. 그리고 현재 1주 당 배당금은 연 159원이 지급되고, 배당 수익률은 연 1.1%가 되겠습니다. 이 상품의 특징은 배당 분배가 월 배당으로 지급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 다음은 위 내용을 보기 쉽게 간단하게 정리한 표입니다.
종류 구분 정리 표
구분 | TIGER 미국 S&P 500 | ACE 미국 S&P 500 | KBSTAR 미국 S&P 500 | SOL 미국 S&P 500 |
---|---|---|---|---|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 한국투자신탁 | KB자산운용 | 신한자산운용 |
상장일 | 2020. 08. 07 | 2020. 08. 07 | 2021. 04. 09 | 2022. 06. 21 |
시가총액 | 약 2조 3,322억 원 | 약 7,262억 원 | 약 2,570억 원 | 약 620억 원 |
총 보수(수수료) | 0.173% | 0.159% | 0.120% | 0.192% |
배당금 | 연 200원 | 연 210원 | 연 212원 | 연 159원 |
배당 수익률 | 연 1.2% | 연 1.3% | 연 1.5% | 연 1.1% |
배당 지급 | 1, 4, 7, 10월 | 1, 4, 7, 10월 | 1, 4, 7, 10, 12월 | 월 배당 |
마무리 글
지금까지 국내 미국 S&P 500 ETF 상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물론 S&P 500도 매년 100% 상승하고 수익을 준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5년 혹은 10년 이상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만큼 확실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도 없다는 것이죠. 개인적으로는 TOGER 미국 S&P 500에 투자하고 있으며, 특별한 이유는 없고 가장 대표적인 상품이라서 선택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상위에 자리하고 있는 상품들을 비교해 보니 가장 매력적인 상품은 KBSTAR 미국 S&P 500 ETF가 아닐까 하네요. 총 보수는 낮은데, 배당금과 수익률은 높고 배당 지급도 독특하게 5번 이루어 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 글은 투자 추천 글이 아니니, 투자는 직접 판단하셔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항상 올바르고 건강한 성공 투자하시길 바라요.